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외장재로 사용되는 비닐사이딩

건설기능/인테리어

by 하얀-바다 2022. 8. 28. 17:03

본문

외장재로 흔히 사용하는 비닐사이딩에 대해서 좀 더 심층 있게 알아본다.

 

비닐사이딩의 색상

 

비닐사이딩은 건물 외벽에 굴곡이 있는 모양의 PVC 재료를 덧대어 치장하는 판재다.
비닐이라 하여 봉지가 아닌 PVC를 뜻한다.

비닐사이딩은 크게 두 가지 타입으로 나뉜다.

비닐사이딩의 2가지 종류

 

                             베벨형판재                                                                    더치형판재

모양이 확연히 틀리다. 베벨형과 더치형 모두 골 하나의 크기가 4인치, 4.5인치 두가지의 종류가 있다.


비닐사이딩의 부속
비닐사이딩

 

             아웃코너                            인코너                            제이찬넬                       스타트

 

 

           창틀 마감재                              소핏(천장재)

 

위 부속들이 보면 모두 공통점이 한 가지 있다.  바로 고정하기 위한 피스 구멍이 있다.  고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비닐사이딩을 고정시킬 떼 5mm의 유격을 두고 중앙부분으로 고착한다.

 

비닐사이딩은 PVC 재질이다 보니 외부온도에 민감하다. 약간의 늘어나고 줄어드는 편차가 생긴다. 위 사진처럼 유격을 주지 않고 딱 붙여서 피스를 박아놓으면 계절 영향으로 파손 및 변형이 날 수 있다.  조금의 유격을 주어 PVC 모양 그대로의 자연스런 연출이 되게끔 시공하면 된다.

 

아래 사진은 스타터의 시공 모습이다.
비닐사이딩

 

비닐사이딩은 패널과 다르게 부속을 먼저 고정 시킨 후 판재를 아래부터 끼우고 고정하며 점차 위로 시공한다.  제일처음 바닥부분 스타터를 고정시키는 작업은 위 사진과 같이 약간의 여유를 두고 시공을 한다.  아래는 제이찬넬 시공 모습입니다.  사진과 같이 90도 각도로 시공이 필요할 시 절개 후 구부려서 시공하게 되면 좀 더 깔끔한 마무리가 된다.

 

 

아래는 외부 코너 시공 모습이다.

 

 

인코너 시공도 아웃코너 시공과 별반 다르지 않다.  하단부 부속에서 피스 고정부분을 절단한 후 하단부 먼저 고정, 그 후 상단부를 끼워 넣어 상단부 고정한다.  그림과 같이 시공하면 위의 아웃코너를 타고 내려오는 물이 내부로 침투하지 않고 밖으로 그대로 흘러가게 된다. 아래 사진은 판재 시공 모습이다.

스타드 대신 제이찬넬로 시작을 하면 흘러내리는 불이 제이찬넬부분에 고이게 된다.

 

스타트는 제이찬넬이나 스타터로 시작을 하지만 제이찬넬로 시작을 하면 판재에서 흘러 내려온 물이 제이찬넬에 고이게 되어 시간이 경과할수록 오염이 되거나 피스부분에 녹이 발생되기도 한다. (가능하면 스타터로 시작하시는 것이 좋다.) 아래부터 체결 한 후 위에 피스를 박아서 고정한다. 다음 장도 동일하다.

 

아래 사진은 천장재 시공 모습입니다.



 

 

방법은 거의 비슷하다. 제이찬넬로 먼저 테두리에 고정시킨 뒤 소핏(천정재)로 끼워 나가는 형식으로 시공하시면 된다.

비닐사이딩의 장점은 건식 자재로 시공이 간편하며 혼자서도 시공이 가능하므로 시공비가 저렴한 편이다.

세월이 흘러 외부 오염, 파손, 또는 색상이나 디자인이 질릴 경우 탈부착이 간단하여 새것으로 재시공이 간편합니다.

다양한 색상으로 여러 포인트를 주어 개성 있는 집을 연출하기 좋으며 특히 천정재로 소핏은 웬만한 집은 거의 사용을 하는 자재다. 지붕의 습도를 조절하는데 탁월한 성능이 있다.

비닐사이딩(PVC)   1.5X240X3650
포장단위 : BOX (24장) / 약 18㎡(5.5평)

 

TRIPLE 4" CENTER VENTED SOFFIT(처마천정재) 3,850
처마 안쪽에 소피트 설치 시 양쪽 끝에 J-CH설치하고 J-CH 양쪽 사이에 끼워 설치한다. 처마 모서리 각은 J-CH 2개를 54도로 마주대고 소프트를 J-CH에 맞게 절단하여 끼워 넣는다. (F-CH 대신 J-CH 사용 가능

 

3/4“ OUTSIDE-CORNERPOST(O.C.P 바깥모서리) 3,000
건물의 바깥쪽 각 코너에 설치되는 바깥모서리는 시작 폴대의 밑부분 보다 3/4“ 낮게 시작해서 지붕선보다 1/4” 낮게 설치된다. 반드시 수직 설치한다.

 

3/4“ INSIDE-CORNERPOST(I.C.P 안쪽모서리)  3,000
안쪽 모서리는 시작폴대의 아랫부분보다 3.4“ 더 길게 바닥으로 나와야 하며 지붕선까지 곧바로 가게 한다.

 

UNDERSILL TRIM(마감쫄대) 3,650
창 아래 부분과 벽의 맨 위부분에 사용하며, 사이딩이 최종조각이 설치되는 곳에 쓰인다. 마감설치 시 사이딩의 윗부분을 마감쫄대와 만나는 곳 까지는 같은 크기로 자른 후 마감쫄대를 설치한다.

 

3/4“ FLEXIBLE J-NER(고무 J-CH)  3,650
고무 J-찬넬은 라운드형 창문이나 문의 곡면 또는 벽체 또는 벽체 곡선이나 박공끝 등 사이딩 시공에 있어서 비닐 J-CH로 설치 불가한 곳에 대신하는 마감재다.

 

1/2“, 5/8” J-CHANNEL (J-CH)  3,650
J-찬넬은 창문이나 문의 측면 또는 벽체의 끝이나 박공끝 등 사이딩 시공에 있어서 가장 많이 소묘되는 마감재이며, 수직 수평을 맞춘 후 판재 이전에 설치한다.

 

2 1.2" STARTER STRIP(시작 폴대)     3,650
판재 시작부분에 사용되며, 수평을 맞추고 선이 다른 코너의 선과 일치하도록 한다. 모서리 기둥(CORNER POST)을 설치할 수 있도록 각 코너로부터 3인치의 공간을 남겨둔다.

관련글 더보기